★ 「2019학년도 1학기」 수/업/노/트 ★
by. 동동매니저 >_<
▶ 일자 : 2019년 03월 12일 (화)
▶ 과목 : 컴퓨터 아키텍처
▶ 담당 교수님 : SCH 컴소공 이화민 교수님
※ 이번 수업의 핵심 키워드!!
(시스템) 버스
※ 수업 내용을 요약해보면?
▶ 컴퓨터의 주기억 장치(RAM)에도 주솟값이 있음!! (대부분 바이트 단위, 고가 컴퓨터의 경우 워드(WORD) 단위일 수 있음)
▶ CPU와 CPU에서 실행할 명령어 및 데이터는 주기억장치에서만 전달발을 수 있음. (HDD, 입출력장치 등에서 직접 전달 불거!!)
☆ (시스템) 버스
▶ CPU와 시스템 요소들을 연결하는 통로
▶ 시스템 버스의 종류
1. 주소 버스 : CPU가 외부로 발생하는 주소의 정보를 전송하며, 선의 개수는 CPU와 접속 가능한 최대 기억장치의 용량을 결정
2. 데이터 버스 : CPU가 기억 또는 입출력 장치 간 데이터를 전송하며, 선의 개수는 CPU가 한 번에 전송 가능한 비트 수를 결정
3. 제어 버스 : CPU가 시스템 내 각종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 (읽기/쓰기 등)
☆ CPU와 기억 장치 간 접속
▶ CPU가 특정 기억 장소로부터 데이터를 읽기 위해서 주소와 읽기 신호가 필요함.
▶ 또한, 데이터를 저장하려면, 주소와 쓰기 신호가 필요함.
▶ 이러한 정보들을 전송하기 위해서 주소 버스, 데이터 버스 등이 필요함.
☆ CPU와 입출력 장치 간 접속
▶ 입출력 및 보조 기억 장치들도 마찬가지로, CPU의 직접적인 제어 및 엑세스가 불가능함. (즉, 별도의 인터페이스 회로가 필요함.)
▶ 예시 1 : 키보드로부터 데이터 읽기
– 키가 눌리면, 8비트 데이터가 (키보드) 제어기로 전송, 데이터 레지스터에 저장과 동시에 상태 레지스터의 비트가 SET
(상태 레지스터의 비트는 입력 데이터가 준비 되었음을 나타냄.)
– CPU는 먼저 상태 레지스터를 읽어서, 비트의 SET 여부를 검사
– 만약 SET가 되어 있는 경우, CPU로 즉시 읽어들임.
– 그렇지 않다면, 비트가 SET 될 때 까지 기다린 후, CPU로 읽어들임.
▶ 예시 2 : 프린터
– 프린터의 경우, 데이터 버퍼의 용량을 수십MB 이상으로 늘릴 수도 있음. (스풀링)
▶ 예시 3 : 보조 기억 장치
– 보조 기억 장치의 경우, 원활한 전송을 위해서, 바이트 단위가 아닌, 블록(512바이트, 1KB, 4KB, ...) 단위로 전송됨.
(디스크 포맷에서 할당 단위 크기의 의미가 바로 그것!!)
※ 수업을 듣고 나서 느낀 점!!
수업이 끝나고 나서, 보조 기억 장치의 블록 단위가 어디서 많이 본 것 같아서 교수님께 여쭤보았음.
디스크 포맷의 할당 단위 크기와 연관이 있는지를 여쭤보았고, 교수님께서 연관이 없는 것은 아니라고 하셨음.
그렇다면 연관이 있다는 뜻인데, 추가적으로 디스크의 포맷 형식(파일 시스템) 또한 여러 가지라고 알려주셨음.
※ 기타 참고 사항!!
없음